본문 바로가기
뉴스, 사회, 생활정보

농심 새우깡 미세 플라스틱 검출, 미세플라스틱 안전할까?

by 우렁 각시 2023. 7. 17.
반응형

농심 새우깡과 빙그레 꽃게랑에 미세플라스틱이 다수 들어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우리나라 국민 미세플라스틱 일일 섭취량의 70배가 넘는 양입니다만, 미세플라스틱이 어떤 경로로 혼입 된 것인지는 현재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관련된 소식 알아보고 미세플라스틱은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나오는지? 우리 몸에 얼마나 해로운지 살펴볼게요.

 

 

농심 새우깡 미세 플라스틱 검출

 

 



농심이 제조한 새우과자에서 국민 1일 섭취량의 70배에 달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지난 12일 국내 한 매체가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인 한국분석과학연구소에 의뢰한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농심에서 제조한 새우깡에서 과자 1g 당 새우깡 13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는데요. 새우깡 과자의 중량은 90g으로, 과자 한 봉지에서 1170개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됐다는 겁니다.  다만 이번 조사가 확실하다고 단정하긴 어려운 게, 미세플라스틱이 모두 해산물로부터 왔다고 규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바다에 많은 건 사실이지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은 과자를 만들 때 사용된 물이나 소금에서도 검출되기도 합니다.

새우깡


식약처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액상차에선 1ml당 0.0003개, 맥주는 1ml당 0.01개, 간장 0.04개/1g, 벌꿀 0.3개/1g, 식염(천일염 제외) 0.5개/1g, 액젓 0.9개/1g, 해조류(미역‧다시마‧김) 4.5개/1g, 젓갈 6.6개/1g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식약처는 국민 1인이 하루 평균 16.3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고 예전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

◎ 미세플라스틱 분석
이번 분석은 20μm(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10종의 미세플라스틱 중에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만 포함되었으며, 폴리스타이렌, 폴리염화비닐 등 다른 종류는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 미세플라스틱 10종

  • 폴리프로필렌(PP)
  • 폴리에틸렌(PE)
  • 폴리스타이렌(PS)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폴리염화비닐(PVC)
  • 나일론(PA)
  • ABS(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스타이렌)
  • 폴리카보네이트(PC)
  •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 폴리우레탄(PU) 등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높은 수치입니다. 
식약처는 지난 2020~2021년 국내 유통 중인 해조류, 젓갈류, 외국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보고된 식품 등 총 11종 102 품목의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를 분석한 바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안전할까?

 

 



◎ 미세플라스틱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은 플라스틱 제품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긴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을 말합니다. 

● 미세플라스틱 주원인 - 마이크로비드
화장품 스크럽이나 치약의 연마제, 의약품 및 연구, 공업용품 등에 사용되는 작은 플라스틱 알갱이인 마이크로비드(microbead) 역시 미세 플라스틱 발생의 주원인
바다에 미세 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어업 중에 투기하는 폐기물로, 약 46% 이상이 그물이 분해되어 생기는 마이크로비드이며, 플라스틱 빨대 등 생필품이 미치는 영향은 0.03%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


● 미세플라스틱 어디에 있을까?
미세 플라스틱은 음식을 싼 포장지나 비닐류, 티백, 물티슈, 공기,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흙에서 나는 식물, 바다의 천일염, 생선, 타이어분진, 합성섬유로 만든 옷을 세탁할 때 등에서 발생해 무수히 많은 루트를 통해 인간의 몸으로 흡수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류, 패류, 해조류, 갑각류 등 해산물 중 갑각류에 가장 많이 축적돼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현재 지구상의 인류를 포함한 거의 모든 생명체가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으며, 몸에 쌓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상 지구상에서 미세플라스틱을 피할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다고 합니다. 우리가 먹는 생수, 맥주 등에도 플라스틱이 있다고 하네요.



● 인체 유해성

  •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음
  • 이에 따라 몇 개까지섭취가 가능한지 등에 관한 규정도 없는 상태
  •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플라스틱의 위해 가능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증거’는 없음
  • 음용수 중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인체 위해 우려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2019)고 발표한 바 있음

 

농심 새우깡 미세 플라스틱 관련 입장은?


이와 관련 농심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미세플라스틱 표준분석법이 없다”며 “그 분석기관도 미세플라스틱 관련 공인기관이 아니다. 데이터를 신뢰하기 어렵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한국분석과학연구소
시험을 담당한 기관은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인 한국분석과학연구소입니다. 
이곳은 국내에서 미세플라스틱 실험을 가장 많이 시행하는 곳 중 하나로 소금이나 티백 제품을 비롯한 각종 식품, 화장품, 치약 등의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을 분석하는 전문 연구소입니다. 미세플라스틱과 관련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과제를 다수 수행했으며, 언론사들과 공동 조사를 벌이기도 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위험하고, 몇 개까지 먹어도 안전한지에 대한 규정은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국민 1일 섭취량보다 엄청나게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과자에서 검출된 만큼 새우과자가 위험한 것인지, 먹어도 괜찮은 것인지 국가 차원의 전반적인 조사와 기준 마련이 시급한 거 같습니다.

이거 얼마나 먹어야 안전할지? 원래 먹던거니 그냥 지나가야 하는지? 참 어렵네요. 

일단 새우깡은 좀 보류!!

이제 후쿠시마 오염수도 걱정해야 하는데 미세 플라스틱까지 걱정하게 되었네요.

 

 

 

 

 

 

댓글